호흡이 있을 때, 주를 찬양하여 감사한 삶이 되시길(샬롬이)

**감동의 글

문자/베르나르 베르베르

샬롬이 2014. 5. 27. 23:25

 

 

A

A   A

A AAA A

A             A

 

 

 

문자

 

 

 

/베르나르 베르베르

 

 

 

기원전 300년 무렵에

근동의 대문명들은 모두 문자를 가지고 있었다.

수메르인들은 설형 문자, 말 그대로 <쐐기꼴> 문자 체계를 발전시켰다.

그들의 위대한 혁신 덕분에 존재와 사물을 그대로 본뜬

회화 문자에서 훨씬 상징적인 선으로 이루어진 문자가 생거난 것이다.

 

 

이 문자는 관념뿐만 아니라 소리도 나타낸다.

예를 들어 화살을 의미하는 기호는 <티>라는 소리를 나타내다가

곧 생명이라는 추상적인 개념과 결합되었다.

이 문자 체계는 가나안족과 바빌로니아인들과 후르리족에게 전파되었다.

 

기원전 2600년경에 수메르인들은

약 6백 개의 기호를 사용하고 있었다.

이 가운데 150개는 묘사와 거리가 먼 추상적인 의미를 지닌 것이었다.

서사들은 이 기호들을 젖은 점토판에 새긴 다음

점토판을 햇볕에 말리거나 화덕에 넣고 구워서 단단하게 만들었다.

이 문자는 교역과 외교에 사용되다가

곧 종교적인 글과 시를 적는 데도 사용되었다.

이 문자로 쓰인 길가메시 왕의 서사시는 인류가 만들어 낸

최초의 서사 문학으로 간주된다.

 

그 뒤에 페니키아의 도시 비블로스에서

현대 알파벳의 원조인 고대 표음문자가 나타났다.

흔히 페니키아 문자라 부르는 이 문자는

오늘날의 히브리 문자와 상당히 비슷하다.

베이루트 국립 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비블로스 아히람 왕의 석관에

새겨진 글은 페니키아 문자의 가장 오래된 본보기이다.

이 새김글에는 22개의 자음자가 나타나 있다.

페니키아 문자는 교역과 탐험의 과정에서 지중해 전역으로 퍼져 나갔다.

 

히브리 문자에서와 마찬가지로

페니키아 문자의 첫 글자는 <알레프>라 불린다.

이 글자는 원래 소의 머리 모양으로 되어 있었는데,

뿔이 아래쪽을 향하도록 뒤집어짐으로써

우리가 사용하는 A가 되었다.

그런데 왜 소의 머리를 첫 글자로 삼았을까?

그건 아마도 당시에 소가 주된 에너지원이었기 때문일 것이다.

고기와 젖을 주고 수레와 쟁기를 끄는 소야말로 가장 소중한 동물이 아니었을까?

 

 

 

수레를 끄는 소는 보이질 않고....

 싸움하는 소만 음~메! "밥 줘!"

진정한 나라의 일군이 필요한 시기에...

싸움소들의 힘겨루며 뿔만 휘두르는 모양새에 

모두가 짓밟혀 피흘리는 아픔의 고통이여!....흑흑...

문자의 ㄱ자를 알기 전에

 낫을 다룰 지혜가 필요함을 느껴야 하오리라~

- 政爭의 소용돌이 속을 보면서...-